사투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거머리의 지방 사투리에 대하여 거머리라는 주제로 글을 쓴다는 게 약간 특이할 수도 있을거라 본다. 일반적으로 표준어는 거머리 라고 불리는 데 일부 경상도나 전라도 지방에서는 아직도 사투리로 사용했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추적해 보고자 한다. 예를 들자면 경상도에서는 ‘검추리’ 또는 ‘검처리’ 라 불렀고 전라도 남부 일부 지역에서는 ‘금자리’ 또는 ‘검자리’ 라고 불리었고 그리 많지는 않지만 여전히 이런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소수로 남아있다. 거머리의 한자는 거머리 질(蛭)인데 뜻을 나타내는 虫(벌레훼)과 음을 나타내는 至(이를지)가 합쳐진 형성자 글자이다. 발음상으로는 한국은 ‘질’이고 중국은 통상 받침이 탈락되는 경우가 많듯이 ‘ㄹ’이 탈락되어 ‘지’와 ‘즈’의 중간발음 정도 된다.거머리라는 명칭이 지방 방언으로써 아직도 남.. 더보기 고향에서 사용했던 말을 찾아서 어렷을 적에 사용했던 말들이 어느순간 좀더 익숙하게 친근하게 들릴 때가 있었다. 갑자기 생각난 단어나 이곳저곳 들르다가 아하 찾았구나 하는 낱말들을 순서대로 모아서 적어봅니다가새. 가세 : 가위.갓애:ㄱ.아래아. 반치음.애(물건 어미)가이내. 가시내 : 여자아이 가생이. 가상이.가새 : 끄트머리 가찹다 : 가깝다간지대 : 장대. 대나무 장대 갈쿠나무 : 솔잎 떨어진 걸 긁어 모은 땔감감똑 : 감나무 꽃 감재 : 고구마. 한자로 감저거짓깔 : 거짓말개댁이. 개대기 : 고양이개안하다 : 시원하다 개꽃 : 철쭉갱아지 : 강아지고동. 물고동 : 다슬기고치 : 고추구녕 : 구멍. 군지 : 그네. 훈몽자회에서 ’글위‘로 표기함. 또다른 표기로는 ‘그뤼’. ‘그뉘’가 있음귀뚝. 기뚝 : 굴뚝 귄있다 : 귀엽다. 매력..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