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獨島)**는 대한민국의 동쪽 끝에 위치한 섬으로,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속해 있습니다.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대한민국 정부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습니다.
1. 독도의 지리적 특징
• 위치: 동해(대한해협 북쪽)
• 좌표: 동경 131°52′ / 북위 37°14′
• 면적: 약 0.187㎢ (약 18,715㎡)
• 구성: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포함한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짐
• 기후: 해양성 기후 (연평균 기온 약 12℃)
• 생태계: 괭이갈매기, 바다사자 등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
2. 독도의 역사적 근거
독도는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한국의 영토로 인식되어 왔으며, 여러 문헌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한국의 독도 영유권 근거
1. 삼국사기(1145년, 고려 인종 때 편찬)
• 신라가 512년 이사부 장군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를 정복했다는 기록이 있음.
2. 세종실록지리지(1454년)
• 울릉도와 독도를 언급하며, “우산(于山)과 무릉(武陵) 두 섬이 모두 강원도(현 경상북도) 울진현에 속해 있다”고 기록.
• 여기서 “우산도”가 독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됨.
3. 대한제국 칙령 제41호(1900년)
• 대한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독도를 관할하고 있음을 명시.
•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하면서 독도를 울릉군에 포함한다고 규정.
4.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951년) 이후 대한민국 실효적 지배
• 일본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 영토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을 부정하고 있음.
• 하지만 대한민국은 1954년부터 독도에 경비대를 주둔시키며 실효적 지배를 계속 유지하고 있음.
(2)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반박
• 일본은 1905년 러일전쟁 중에 독도를 일본 영토에 편입했다고 주장함.
• 그러나 이는 대한제국 칙령(1900년) 이후 불법적으로 강탈한 것으로, 국제법적으로 정당성이 없음.
• 일본이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라고 주장하며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이는 역사적, 국제법적 근거가 부족함.
3. 독도의 중요성
1. 군사적 요충지
• 독도는 한반도 동쪽 끝에 위치하여 군사적 감시 및 방어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 특히 동해에서의 해상 및 공중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함.
2. 해양 자원 및 경제적 가치
• 독도 주변에는 **풍부한 어족 자원(명태, 오징어 등)**이 존재하며, 해양 생태계가 다양함.
• 해저 광물자원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됨(메탄 하이드레이트 등).
3. 국민적 상징성
•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 주권을 상징하는 곳이며, 많은 국민이 애정을 가지고 있음.
• 독도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민간·정부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5. 한국 측 옛 지도 (독도를 대한민국 영토로 표기)
① 신증동국여지승람 지도 (1531년)
• 조선 중종 때 정척, 양성지가 제작한 지도로, 독도가 포함됨.
• 우산도(독도)와 울릉도를 조선 영토로 표기.
• “우산(于山)과 무릉(武陵, 울릉도) 두 섬이 강원도 울진현에 속한다”고 기록.
• 조선 시대부터 독도가 한국 영토였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지도.
② 동국지도 (18세기, 정상기 제작)
• 조선 영조 때 정상기(1678~1752)가 제작한 지도.
• 최초로 축척 개념을 도입한 한국 지도.
•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영토로 표시됨.
③ 해좌전도 (19세기, 조선 후기)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비슷한 형식으로 제작된 지도.
•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명확히 포함.
④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반영 지도 (1900년)
• 대한제국이 1900년 칙령 제41호를 통해 독도를 울릉군에 편입하면서 제작된 지도.
•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 영토로 표기.
5. 일본 측 옛 지도 (독도를 일본 영토에서 제외한 지도)
일본이 과거 스스로 독도를 자국 영토로 인정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지도들입니다.
① 삼국접양지도 (1785년, 하야시 시헤이 제작)
• 일본 학자 **하야시 시헤이(林子平)**가 제작.
• 일본 본토와 오키섬은 붉은색, 조선과 울릉도·독도는 황색으로 표기됨.
• 이는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됨.
②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지도 (1870년, 일본 외무성)
• 일본 외무성이 조선을 조사한 후 작성한 문서.
•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소유”라고 기록.
• 공식 일본 정부 문서에서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한 사례.
③ 태정관 지령 (1877년)
• 일본 정부(태정관, 현재의 내각)가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과 관련 없다”는 지령을 내림.
• 이 지령과 관련된 지도에서도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지 않음.
④ 일본 해군 수로부 지도 (1894년)
• 일본 해군이 제작한 해도에서 독도를 조선 영토로 인식.
• 일본 해군조차 독도를 자국 영토로 포함하지 않음
6. 독도를 지키기 위한 노력
1. 정부 차원의 관리 및 경비
• 대한민국 경찰청 경비대가 독도를 상주하며 24시간 경비 근무를 수행.
• 행정적으로는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독도를 관리함.
2. 국제 사회에 독도의 정당한 소유권 홍보
• 대한민국은 국제법과 역사적 증거를 바탕으로 독도의 대한민국 영유권을 적극 주장하고 있음.
• 해외 언론과 국제 기구에 독도 관련 자료를 제공하여 일본의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노력을 함.
3. 독도 관련 교육 및 홍보 강화
• 대한민국 교육 과정에서는 독도를 대한민국 영토로서 명확하게 교육하고 있음.
• 민간 단체와 학계에서도 독도 연구 및 역사적 증거 정리를 통해 독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있음.
결론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이며, 대한민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섬입니다. 일본의 부당한 영유권 주장은 역사적 사실과 국제법적 근거가 부족하며, 대한민국은 독도를 보호하고 영유권을 확고히 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홍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