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혈압 범위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고혈압학회(KSH), 미국심장협회(AHA) 등의 기준에 따르면, 일반적인 성인의 정상 혈압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
정상 혈압 120mmHg 미만 80mmHg 미만
정상 고혈압(고혈압 전단계) 120~129mmHg 80mmHg 미만
1기 고혈압 130~139mmHg 80~89mmHg
2기 고혈압 140mmHg 이상 90mmHg 이상
즉, 120/80mmHg 미만이 정상 혈압으로 간주되며, 130/80mmHg 이상부터는 고혈압 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나이 + 90” 공식이 맞는가?
예전에는 **“나이 + 90 = 정상 혈압”**이라는 경험적 공식이 있었지만, 현재 의학적으로 인정된 기준은 아닙니다.
• 나이가 들수록 혈압이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경향이 있지만, 고혈압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 따라서 현재 고혈압 기준을 나이에 따라 완화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령층에서는 무조건 혈압을 낮추는 것이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개별적인 조절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의 혈압 기준이 너무 낮게 책정되었나?
대한고혈압학회의 기준(130/80mmHg 이상이 고혈압)은 미국(AHA)과 유사하며, 세계적으로도 비교적 엄격한 편입니다.
• 과거(140/90mmHg 기준)보다 130/80mmHg 기준으로 변경하면서 고혈압 환자가 증가한 것은 사실입니다.
• 하지만 고혈압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치명적인 질환과 직결되므로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준을 강화한 것입니다.
• 반면, 너무 낮은 혈압 목표를 강요하면 과도한 혈압약 복용, 저혈압 위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1. 일반적인 정상 혈압은 120/80mmHg 미만이며, 130/80mmHg 이상이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나이 + 90” 공식은 현재 공식적인 의학 기준이 아니며, 혈압은 개인별로 조절해야 합니다.
3. 한국의 혈압 기준이 낮은 편이긴 하지만,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설정된 기준입니다.
4. 고령자의 경우 무조건 혈압을 낮추기보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춘 목표 설정이 중요합니다. (예: 140/90mmHg 이하를 유지)
고혈압 진단은 개인별 건강 상태, 가족력, 생활습관 등을 고려해 결정해야 하므로, 너무 기준에 집착하기보다는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목표 혈압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